WebP와 GIF 소개
WebP와 GIF는 웹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 포맷입니다. 두 포맷 모두 웹 환경에서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지만, 각각의 특징과 용도가 다릅니다.
WebP는 구글에서 개발한 이미지 포맷으로, 고화질의 정적 이미지와 움직이는 이미지를 작은 파일 크기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웹 페이지의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GIF는 움직이는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 포맷입니다. GIF는 256색까지 지원하며, 투명도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GIF는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포맷 중 하나입니다.
이 두 이미지 포맷의 장단점과 차별점을 이해하면, 웹 환경에서 어떤 이미지 포맷을 사용할지...
Showing posts with label ko.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ko. Show all posts
Monday, April 1, 2024
Thursday, March 28, 2024
AWS CloudFront 소개와 사용법
AWS CloudFront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데이터,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API 등을 전달합니다. 이는 AWS의 글로벌 엣지 로케이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가능합니다.
CloudFront를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더 빠르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에 가장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CloudFront는 DDoS 공격과 같은 여러 유형의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공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완화합니다.
CloudFront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WS Management Console에 로그인합니다.
2....
Wednesday, March 27, 2024
Flutter Method Channel과 Event Channel 소개
Flutter는 Dart와 네이티브 코드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도 Method Channel과 Event Channel은 특히 중요합니다.
Method Channel은 Dart와 네이티브 코드 간에 단방향 통신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Dart에서 네이티브 함수를 호출하고 결과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void main(){
const platform = MethodChannel('samples.flutter.dev/battery');
String batteryLevel = 'Unknown battery level.';
Future<void> _getBatteryLevel()...
1. Meta Refresh란 무엇인가?
Meta Refresh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새로 고침하거나 다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HTML의 meta 태그를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다음은 Meta Refresh를 사용하는 예시입니다: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5;url=https://example.com/">
위의 코드는 5초 후에 사용자를 'https://example.com/'로 리다이렉트합니다.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2. HTTP Redirect란 무엇인가?
HTTP Redirect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한 리소스가 다른 위치에...
Tuesday, March 26, 2024
Android ExoPlayer 소개
Android ExoPlayer는 Google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미디어 플레이어 라이브러리입니다. 기본 Android MediaPlayer API보다 더 많은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미디어 형식을 지원합니다. 또한, 여러 개의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더 풍부한 미디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implementation 'com.google.android.exoplayer:exoplayer:2.X.X'
ExoPlayer는 다양한 미디어 형식과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동적적응 스트리밍(DASH), 스무드 스트리밍(SmoothStreaming), 공통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형식(Common Media...
Flutter와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
Flutter는 빠른 개발 속도와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여 모바일 앱 개발에서 인기 있는 프레임워크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나 복잡해지는 앱의 기능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안정성이 보장된 코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테스트 코드 작성은 필수적인 과정으로, 버그를 사전에 발견하고 수정함으로써 앱의 품질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테스트 코드는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를 예방하고, 코드 변경에 따른 사이드 이펙트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통합(CI/CD) 환경에서는 테스트 코드를 통해 자동화된 테스트를 수행, 앱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테스트 과정은...
Monday, March 25, 2024
Riverpod 소개
Riverpod는 Flutter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가장 인기 있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개발자가 앱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며, 앱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Provider 패키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Provider는 상태 관리를 위한 강력한 도구이지만,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Provider는 상태를 변경할 때마다 위젯 트리 전체를 다시 빌드하므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에 Riverpod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Riverpod는 상태 변경 시 필요한 위젯만 다시 빌드하므로 앱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Riverpod는...
USB에 대해 알아보자
USB는 'Universal Serial Bus'의 약자로,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입니다. USB는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전력 공급 능력에 따라 여러 버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USB 2.0은 초당 480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며, USB 3.0은 초당 최대 5Gbps의 속도를 제공합니다.
USB는 가장 일반적인 연결 방식으로,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스캐너, 외장 하드 드라이브 등 다양한 주변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USB 3.0 이상의 버전은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므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USB는 다양한 버전이 있으며, 각 버전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전력 공급 능력이 다릅니다....
screen 명령어란?
Screen은 리눅스와 macO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여러 개의 터미널 세션을 동시에 열고, 그 사이를 전환하고, 세션을 중지하고 다시 시작할 수 있게 해주는 '터미널 멀티플렉서'라고도 불립니다.
Screen 명령어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진 후에도 프로세스를 계속 실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격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 연결이 끊어져도, 다시 연결하면 이전에 떠났던 곳에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긴 시간 동안 실행되어야 하는 작업, 예를 들어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작업이나 긴 시간 동안의 시스템 업데이트 등에 매우 유용합니다.
Screen 명령어는 여러 가지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터미널 세션을 더욱 효과적으로...
Friday, March 22, 2024
REST API란 무엇인가?
REST API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웹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합니다. REST API는 각 URL이 리소스를 대표하고, HTTP 메소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통해 해당 리소스에 대한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연산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https://api.example.com/users'라는 URL이 있다면, 이 URL은 'users'라는 리소스를 대표하며, HTTP 메소드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생성, 조회, 수정, 삭제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REST...
Wednesday, March 20, 2024
Copilot 소개
Copilot은 개발자의 일상 업무를 돕는 인공지능 도우미입니다. 코드 작성, 버그 수정, 새로운 언어 학습 등 다양한 작업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개발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Copilot은 사용자의 코드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코드 조각을 제안합니다. 이는 복잡한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기존 프로젝트를 유지 관리하는 데도 유용합니다.
또한, Copilot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므로, 개발자가 처음 접하는 언어나 프레임워크에 대한 학습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Copilot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코드 자동 완성'입니다. 사용자가 코드를 작성하다가 Copilot에게 도움을...
Dart SDK 설치 방법
Dar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Dart SDK를 설치해야 합니다. Dart SDK는 Dart 언어와 관련된 도구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Dart SDK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1 Dart SDK 다운로드
Dart SDK는 Dart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Get Dart' 버튼을 클릭하면 다양한 플랫폼에 맞는 Dart SDK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1.2 Dart SDK 설치
다운로드 받은 Dart SDK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Dart SDK를 설치합니다. 설치 과정에서는 설치 경로를 지정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C:\Program Files\Dart\dart-sdk 경로에 설치됩니다.
1.3...
Flutter에서 async와 async*의 개념 소개
Flutter는 Dart라는 언어를 사용하여 앱을 개발합니다. Dart는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데, 이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비동기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Future'와 'Stream'입니다. 이 두 개념을 이해하려면 async와 async* 키워드를 알아야 합니다.
async 키워드는 함수가 Future를 반환하도록 만듭니다. Future는 어떤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다른 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해주는 객체입니다. 즉, Future는 비동기 작업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반면에 async* 키워드는 함수가 Stream을 반환하도록 만듭니다. Stream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Flutter와 async, isolate, stream 소개
Flutter는 Google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단일 코드베이스로 iOS와 Android 앱을 모두 개발할 수 있습니다.
Flutter에서는 async, isolate, 그리고 stream이라는 세 가지 중요한 개념을 사용하여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처리합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은 Flutter 앱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sync는 Dart 언어의 키워드로, 비동기 함수를 선언할 때 사용합니다. 이 키워드를 사용하면, 함수의 실행을 일시 중지하고, 함수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에 다시 실행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isolate는...
Tuesday, March 19, 2024
ADB와 ADB Shell 소개
ADB(Android Debug Bridge)는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다목적 명령줄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가져오거나, 앱을 설치하거나 제거하거나,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로그를 추출하거나, 파일을 전송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ADB Shell은 ADB의 한 기능으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의 리눅스 명령줄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을 탐색하거나, 시스템 및 앱 프로세스를 관리하거나,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ADB는 USB 또는 Wi-Fi를 통해 PC와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를 연결하며, 이 연결을...
Monday, March 18, 2024
서론
AR, VR, MR. 이 세 가지 기술은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증강 현실, 가상 현실, 혼합 현실을 의미하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우리의 현실을 확장하고 향상시킵니다.
이 글에서는 AR, VR, MR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이 기술들이 어떻게 우리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이 기술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며, 어떤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AR, VR, MR의 정의
AR, VR, MR은 각각 증강 현실, 가상 현실, 혼합 현실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모두 디지털 기술을...
Friday, March 15, 2024
Flutter란 무엇인가?
Flutter는 Google에서 개발하고 지원하는 오픈 소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Flutter를 사용하면, 단일 코드베이스로 iOS와 Android 모두에 대한 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 시간을 줄이고, 유지 관리를 간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Flutter는 Dart라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Dart는 객체 지향적이고, 클래스 기반의 언어로, JavaScript와 같은 C 스타일 구문을 사용합니다. Dart는 Flutter에 의해 컴파일되어 네이티브 코드로 변환되므로, Flutter 앱은 자바나 스위프트를 사용하여 개발된 네이티브 앱과 동일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Flutter는 '위젯'이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위젯은 앱의 기본 구성...
Wednesday, March 13, 2024
구글 애드센스의 기본 이해
구글 애드센스는 웹사이트 소유자가 사이트에 광고를 게재하고, 그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구글이 운영하며, 광고는 구글의 다른 광고 네트워크인 구글 애드워즈에서 비롯됩니다.
구글 애드센스를 사용하면, 웹사이트 소유자는 사이트 방문자가 광고를 클릭하거나 보았을 때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익은 '클릭당 수익'(CPC) 또는 '천 번의 노출당 수익'(CPM)으로 측정됩니다.
이 서비스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웹사이트 소유자는 구글 애드센스의 정책을 준수하고, 광고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러한 지식은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광고 단위'입니다. 광고 단위는 웹사이트에...
Tuesday, March 12, 2024
Git 고급 명령어 소개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개발자들이 프로젝트의 다양한 버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Git의 기본 명령어들은 많은 개발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만, Git의 고급 명령어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Git의 고급 명령어들에 대해 소개하고, 이들이 어떻게 프로젝트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고급 명령어들은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챕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고급 명령어들을 소개하겠습니다:
git rebase: 커밋들을 새로운 베이스 위로 이동시키는 명령어입니다.
git cherry-pick: 특정 커밋을 현재 브랜치로 가져오는 명령어입니다.
g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