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앱이 지금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고 있는가?' 혹은 '화면 뒤로 사라졌는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두 가지 상태, 즉 포그라운드(Foreground)와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를 정확히 구분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UX)을 극대화하고, 시스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비즈니스 로직을 올바르게 처리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건입니다.
예를 들어, 채팅 앱을 생각해 봅시다. 사용자가 앱을 활발히 사용 중일 때(포그라운드)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하면, 앱 내에서 자연스러운 알림이나 UI 업데이트를 통해 보여줘야 합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홈 화면으로 나가거나 다른 앱을 사용 중일 때(백그라운드) 메시지가 온다면, 시스템 상단 바에 푸시 알림(System Notification)을 띄워 사용자가 중요한 내용을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데이터 동기화, 위치 정보 업데이트 중단, 동영상 재생 중지 등 수많은 시나리오에서 앱의 현재 상태를 아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는 isAppInForeground()
와 같은 직관적인 API를 공식적으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앱'이라는 개념 자체가 모호하기 때문입니다. 안드로이드 앱은 여러 개의 액티비티(Activity), 서비스(Service), 브로드캐스트 리시버(Broadcast Receiver) 등으로 구성된 복잡한 유기체입니다. 특정 액티비티 하나가 화면에 보인다고 해서 '앱 전체'가 포그라운드라고 단정하기 어렵고, 모든 액티비티가 사라졌다고 해서 백그라운드 작업이 없다고 말할 수도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개발자들은 오랫동안 저마다의 방식으로 앱의 상태를 추론해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개발의 오랜 난제였던 '앱 포그라운드/백그라운드 상태 감지'를 가장 정확하고 우아하게 해결하는 두 가지 핵심적인 방법론을 깊이 있게 파헤쳐 봅니다. 전통적이면서도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ActivityLifecycleCallbacks
방식부터, 구글이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최신 Jetpack 라이브러리인 ProcessLifecycleOwner
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모든 것을 다룹니다. 이제 더 이상 부정확한 추측에 의존하지 않고, 앱의 생명주기를 완벽하게 제어할 준비를 하십시오.
방법 1: 전통적 접근법, ActivityLifecycleCallbacks를 이용한 상태 추적
안드로이드 Jetpack 라이브러리가 대중화되기 전부터 널리 사용되던 견고한 방법입니다. 이 방식의 핵심 아이디어는 간단합니다. "앱 내에서 실행 중인(Started) 액티비티의 개수를 세어서 0개이면 백그라운드, 1개 이상이면 포그라운드"라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API 14부터 제공된 Application.ActivityLifecycleCallbacks
인터페이스를 사용합니다.
ActivityLifecycleCallbacks란 무엇인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Application.ActivityLifecycleCallbacks
는 애플리케이션 내의 모든 액티비티의 생명주기 이벤트를 한 곳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강력한 리스너 인터페이스입니다. 특정 액티비티에 종속되지 않고, 앱 전체의 액티비티 생명주기(onCreate
, onStart
, onResume
, onPause
, onStop
, onDestroy
)를 전역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액티비티가 시작될 때(onActivityStarted
) 카운트를 1 증가시키고, 중지될 때(onActivityStopped
) 카운트를 1 감소시키는 로직을 구현할 것입니다. 카운터가 0에서 1이 되는 순간이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포그라운드로 전환되는 시점이며, 1에서 0이 되는 순간이 포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로 전환되는 시점입니다.
구현 단계별 상세 가이드
이제 실제로 이 로직을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재사용성을 위해 싱글턴(Singleton) 패턴을 적용한 헬퍼 클래스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 헬퍼 클래스 작성 (Kotlin/Java)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를 관리할 것이므로, 어떤 곳에서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싱글턴으로 설계합니다. Kotlin의 object
키워드는 이러한 목적에 완벽하게 부합합니다. Java 사용자들을 위해 Java 버전 코드도 함께 제공합니다.
[Kotlin 버전 - AppLifecycleObserver.kt]
현대적인 Kotlin 스타일로, 더 간결하고 안전하게 작성된 코드입니다.
import android.app.Activity
import android.app.Application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java.util.concurrent.atomic.AtomicBoolean
import java.util.concurrent.atomic.AtomicInteger
/**
* 앱의 포그라운드/백그라운드 상태를 감지하는 싱글턴 객체.
* ActivityLifecycleCallbacks를 사용하여 앱 내 활성화된 Activity의 수를 추적합니다.
*/
object AppLifecycleObserver : Application.ActivityLifecycleCallbacks {
private val startedActivityCount = AtomicInteger(0)
private val isForeground = AtomicBoolean(false)
/**
* Application 클래스의 onCreate에서 이 메서드를 호출하여 초기화해야 합니다.
* @param app Application 인스턴스
*/
fun init(app: Application) {
app.registerActivityLifecycleCallbacks(this)
}
/**
* 현재 앱이 포그라운드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 @return true이면 포그라운드, false이면 백그라운드.
*/
fun isForeground(): Boolean {
return isForeground.get()
}
/**
* 현재 앱이 백그라운드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 @return true이면 백그라운드, false이면 포그라운드.
*/
fun isBackground(): Boolean {
return !isForeground.get()
}
override fun onActivityCreated(activity: Activity, savedInstanceState: Bundle?) {
// 이 예제에서는 특별한 동작 없음
}
override fun onActivityStarted(activity: Activity) {
// 액티비티가 시작될 때마다 카운트를 증가시킵니다.
// 카운트가 0에서 1로 변하는 시점이 앱이 포그라운드로 전환되는 시점입니다.
if (startedActivityCount.incrementAndGet() == 1) {
isForeground.set(true)
// 여기에 포그라운드로 전환될 때 필요한 로직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e.g., Log.d("AppLifecycle", "App is in FOREGROUND")
}
}
override fun onActivityResumed(activity: Activity) {
//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상태
}
override fun onActivityPaused(activity: Activity) {
//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상태
}
override fun onActivityStopped(activity: Activity) {
// 액티비티가 멈출 때마다 카운트를 감소시킵니다.
// 카운트가 0이 되는 시점이 앱이 백그라운드로 전환되는 시점입니다.
if (startedActivityCount.decrementAndGet() == 0) {
isForeground.set(false)
// 여기에 백그라운드로 전환될 때 필요한 로직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e.g., Log.d("AppLifecycle", "App is in BACKGROUND")
}
}
override fun onActivitySaveInstanceState(activity: Activity, outState: Bundle) {
// 상태 저장
}
override fun onActivityDestroyed(activity: Activity) {
// 액티비티 파괴
}
}
[Java 버전 - AppLifecycleObserver.java]
전통적인 Java 스타일의 싱글턴 구현입니다.
import android.app.Activity;
import android.app.Application;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util.Log;
public class AppLifecycleObserver implements Application.ActivityLifecycleCallbacks {
private static AppLifecycleObserver instance;
private int runningActivityCount = 0;
private AppLifecycleObserver() {}
public static AppLifecycleObserver getInstance() {
if (instance == null) {
synchronized (AppLifecycleObserver.class) {
if (instance == null) {
instance = new AppLifecycleObserver();
}
}
}
return instance;
}
public void init(Application application) {
application.registerActivityLifecycleCallbacks(this);
}
public boolean isForeground() {
return runningActivityCount > 0;
}
public boolean isBackground() {
return runningActivityCount == 0;
}
@Override
public void onActivityCreated(Activity activity, Bundle savedInstanceState) {}
@Override
public void onActivityStarted(Activity activity) {
if (++runningActivityCount == 1) {
// App-in-foreground
Log.d("AppLifecycle", "App is in FOREGROUND");
}
}
@Override
public void onActivityResumed(Activity activity) {}
@Override
public void onActivityPaused(Activity activity) {}
@Override
public void onActivityStopped(Activity activity) {
if (--runningActivityCount == 0) {
// App-in-background
Log.d("AppLifecycle", "App is in BACKGROUND");
}
}
@Override
public void onActivitySaveInstanceState(Activity activity, Bundle outState) {}
@Override
public void onActivityDestroyed(Activity activity) {}
}
왜 `onStart`/`onStop`을 사용할까?
액티비티 생명주기에는 `onResume`/`onPause` 쌍도 있습니다. 하지만 `onResume`은 액티비티가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상태, `onPause`는 포커스를 잃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투명한 액티비티나 시스템 권한 다이얼로그가 위에 뜰 경우, 아래 액티비티는 `onPause` 상태가 되지만 여전히 화면에는 보입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점에서 '앱이 화면에 보이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Started' 상태, 즉 `onStart`와 `onStop`을 기준으로 카운팅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2. Application 클래스에 등록
작성한 헬퍼 클래스가 동작하려면, 앱이 시작될 때 단 한 번 초기화하고 시스템에 콜백을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역할은 Application
을 상속받는 클래스가 담당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만약 아직 `Application` 클래스를 커스텀하여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새로 생성하고 AndroidManifest.xml
파일에 등록해야 합니다.
[MyApplication.kt]
import android.app.Application
class MyApplication : Application() {
override fun onCreate() {
super.onCreate()
// 앱이 생성될 때 AppLifecycleObserver를 초기화합니다.
AppLifecycleObserver.init(this)
}
}
[AndroidManifest.xml]
태그에 `android:name` 속성을 추가하여 커스텀 Application 클래스를 지정합니다.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application
android:name=".MyApplication"
android:allowBackup="true"
android:icon="@mipmap/ic_launcher"
android:label="@string/app_name"
android:roundIcon="@mipmap/ic_launcher_round"
android:supportsRtl="true"
android:theme="@style/Theme.MyApp">
</application>
</manifest>
3. 상태 확인 및 사용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앱의 어느 곳에서든 현재 포그라운드/백그라운드 상태가 필요할 때, 간단히 헬퍼 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하면 됩니다.
// 예: FirebaseMessagingService에서 푸시 메시지 처리
class MyFirebaseMessagingService : FirebaseMessagingService() {
override fun onMessageReceived(remoteMessage: RemoteMessage) {
super.onMessageReceived(remoteMessage)
if (AppLifecycleObserver.isForeground()) {
// 앱이 포그라운드 상태일 때: 인앱 메시지 표시, UI 업데이트 등
Log.d("FCM", "App is in foreground. Show in-app notification.")
showInAppBanner(remoteMessage.notification?.title, remoteMessage.notification?.body)
} else {
// 앱이 백그라운드 상태일 때: 시스템 트레이에 푸시 알림 표시
Log.d("FCM", "App is in background. Show system notification.")
showSystemNotification(remoteMessage.notification?.title, remoteMessage.notification?.body)
}
}
// ...
}
이 방법은 원리가 명확하고, 외부 라이브러리에 대한 의존성이 없으며, 안드로이드의 근본적인 생명주기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직접 카운터를 관리하고 싱글턴 클래스를 만들어야 하는 등 약간의 보일러플레이트 코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방법 2: 구글 공식 권장, Android Jetpack ProcessLifecycleOwner 활용
안드로이드 개발 패러다임이 Jetpack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구글은 앱 프로세스 전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더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바로 ProcessLifecycleOwner
입니다.
ProcessLifecycleOwner
는 이름 그대로 '프로세스의 생명주기를 소유한 객체'입니다. 앱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LifecycleOwner로 간주하고, 이 LifecycleOwner의 생명주기 이벤트를 관찰(Observe)함으로써 앱의 포그라운드/백그라운드 전환을 감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방법은 현재 구글이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방식이며, 더 안정적이고 간결합니다.
ProcessLifecycleOwner의 작동 원리
내부적으로 ProcessLifecycleOwner
도 ActivityLifecycleCallbacks
와 비슷한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개발자가 직접 카운터를 관리할 필요 없이, 모든 복잡성을 라이브러리 내부에서 처리해줍니다.
- 앱의 첫 번째 액티비티가
onStart()
를 호출하면,ProcessLifecycleOwner
는ON_START
이벤트를 발행합니다. (이때 포그라운드로 간주) - 앱의 마지막 액티비티가
onStop()
을 호출하면,ProcessLifecycleOwner
는ON_STOP
이벤트를 발행합니다. (이때 백그라운드로 간주) - 유사하게 첫 액티비티가
onResume()
을 호출하면ON_RESUME
, 마지막 액티비티가onPause()
를 호출하면ON_PAUSE
이벤트를 발행합니다.
이 이벤트를 관찰하기만 하면, 앱의 상태 전환 시점에 원하는 로직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구현 단계별 상세 가이드
1. build.gradle에 의존성 추가
ProcessLifecycleOwner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lifecycle-process` 라이브러리를 프로젝트에 추가해야 합니다. app/build.gradle.kts
또는 app/build.gradle
파일에 다음 의존성을 추가하세요.
// app/build.gradle 또는 app/build.gradle.kts
dependencies {
// ... other dependencies
def lifecycle_version = "2.7.0" // 최신 버전을 확인하고 사용하세요
implementation "androidx.lifecycle:lifecycle-process:$lifecycle_version"
implementation "androidx.lifecycle:lifecycle-common-java8:$lifecycle_version" // Java 8 지원을 위해 권장
}
반드시 공식 문서에서 최신 버전을 확인 후 적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 LifecycleEventObserver 구현 및 등록
이제 앱의 상태 변경을 감지할 관찰자(Observer)를 만들어야 합니다. `LifecycleEventObserv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나 객체를 만들고, 이를 `ProcessLifecycleOwner`에 등록하면 됩니다.
이 또한 `Application` 클래스에서 앱 시작 시 한 번만 등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번에도 상태를 저장하고 어디서든 조회할 수 있는 싱글턴 객체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Kotlin 버전 - AppProcessObserver.kt]
import androidx.lifecycle.DefaultLifecycleObserver
import androidx.lifecycle.LifecycleOwner
import androidx.lifecycle.ProcessLifecycleOwner
import java.util.concurrent.atomic.AtomicBoolean
/**
* ProcessLifecycleOwner를 사용하여 앱의 포그라운드/백그라운드 상태를 감지하는 싱글턴 객체.
* 구글에서 권장하는 공식적인 방법입니다.
*/
object AppProcessObserver {
private val isForeground = AtomicBoolean(false)
// DefaultLifecycleObserver는 각 생명주기 이벤트에 대한 콜백을 제공하는 편리한 인터페이스입니다.
private val lifecycleObserver = object : DefaultLifecycleObserver {
// 앱이 포그라운드로 전환될 때 호출 (onStart 이후)
override fun onStart(owner: LifecycleOwner) {
isForeground.set(true)
// Log.d("AppProcessObserver", "App is in FOREGROUND")
}
// 앱이 백그라운드로 전환될 때 호출 (onStop 이후)
override fun onStop(owner: LifecycleOwner) {
isForeground.set(false)
// Log.d("AppProcessObserver", "App is in BACKGROUND")
}
}
/**
* Application 클래스의 onCreate에서 이 메서드를 호출하여 초기화해야 합니다.
*/
fun init() {
// 메인 스레드에서 ProcessLifecycleOwner에 옵저버를 추가합니다.
// ProcessLifecycleOwner.get().lifecycle은 앱 프로세스 전체의 생명주기를 나타냅니다.
ProcessLifecycleOwner.get().lifecycle.addObserver(lifecycleObserver)
}
/**
* 현재 앱이 포그라운드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 @return true이면 포그라운드, false이면 백그라운드.
*/
fun isForeground(): Boolean {
return isForeground.get()
}
/**
* 현재 앱이 백그라운드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 @return true이면 백그라운드, false이면 포그라운드.
*/
fun isBackground(): Boolean {
return !isForeground.get()
}
}
참고: 위 코드에서는 `DefaultLifecycleObserver`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onCreate`, `onStart`, `onResume`, `onPause`, `onStop`, `onDestroy`에 대한 명시적인 콜백 메서드를 제공하여 코드를 더 명확하게 만들어줍니다. 단순히 `LifecycleEventObserver`를 사용하고 `onStateChanged` 내에서 `event`를 분기 처리해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Application 클래스에서 초기화
마찬가지로 커스텀 `Application` 클래스의 `onCreate`에서 옵저버를 초기화해줍니다.
[MyApplication.kt]
import android.app.Application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Delegate
class MyApplication : Application() {
override fun onCreate() {
super.onCreate()
// ProcessLifecycleOwner를 사용하는 옵저버 초기화
AppProcessObserver.init()
}
}
`AndroidManifest.xml`에 `MyApplication`이 등록되어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세요. 이 한 줄의 코드로, 앱의 프로세스 생명주기 관찰이 시작됩니다.
4. 상태 확인 및 사용
사용 방법은 첫 번째 방법과 완전히 동일합니다. 어느 곳에서든 `AppProcessObserver.isForeground()`를 호출하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 음악 플레이어 서비스
class MusicPlayerService : Service() {
// ...
fun onPlaybackStateChanged(isPlaying: Boolean) {
if (isPlaying && AppProcessObserver.isBackground()) {
// 음악이 재생 중이고 앱이 백그라운드 상태라면,
// 포그라운드 서비스 알림을 표시하여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도록 함
startForeground(NOTIFICATION_ID, createNotification())
} else {
// 앱이 포그라운드이거나 재생이 멈추면 포그라운드 서비스 상태 해제
stopForeground(STOP_FOREGROUND_REMOVE)
}
}
// ...
}
보시다시피, ProcessLifecycleOwner
를 사용하면 개발자가 직접 생명주기 콜백을 구현하고 액티비티 개수를 세는 복잡한 로직을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코드의 양을 줄여주고, 실수를 방지하며, 구글이 보장하는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두 방법 비교 및 최적의 선택은?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살펴보았습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할까요? 다음 표를 통해 각 방법의 장단점을 명확하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항목 | ActivityLifecycleCallbacks | ProcessLifecycleOwner |
---|---|---|
구현 복잡도 | 중간. 직접 콜백을 구현하고 카운터 로직을 관리해야 함. | 낮음. 라이브러리가 복잡한 로직을 모두 처리해줌. |
코드 양 | 비교적 많음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포함) | 매우 적음 |
외부 의존성 | 없음 (Android Framework 기본 API) | androidx.lifecycle:lifecycle-process 필요 |
안정성 및 신뢰성 | 로직을 정확히 구현했다면 높음. | 매우 높음. 구글에서 테스트하고 관리. |
권장 사항 | 원리를 학습하거나 Jetpack을 사용하지 않는 레거시 프로젝트에 적합. | 모든 신규 및 현대적인 프로젝트에 강력히 권장. |
결론: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ProcessLifecycleOwner
를 사용하는 것이 현대 안드로이드 개발의 표준이자 최선의 선택입니다. 간결함, 안정성, 그리고 구글의 공식 지원이라는 세 가지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는 이미 다른 Jetpack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의존성을 하나 추가하는 부담도 거의 없습니다.
ActivityLifecycleCallbacks
방식은 그 자체로 훌륭한 방법이며, Jetpack 라이브러리의 내부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만약 어떠한 이유로든 Jetpack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라면 이 방법을 자신 있게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고려해야 할 함정 및 엣지 케이스 (Edge Cases)
앱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은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 설정 변경 (Configuration Changes): 사용자가 화면을 회전시키는 경우, 액티비티는 파괴(
onDestroy
)되고 다시 생성(onCreate
)됩니다. 이때 `ActivityLifecycleCallbacks`의 카운터 방식이 꼬일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화면 회전 시 생명주기는onPause
->onStop
->onDestroy
-> ... ->onCreate
->onStart
->onResume
순으로 호출되며, 새로운 액티비티의onStart
가 이전 액티비티의onStop
이후에 충분히 빨리 호출되므로 카운터가 0이 되는 순간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ProcessLifecycleOwner
는 이러한 상황을 내부적으로 완벽하게 처리하므로 더욱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다중 프로세스 (Multi-process) 앱: 만약 여러분의 앱이
android:process
속성을 사용하여 여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들은 각 프로세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ProcessLifecycleOwner` 역시 이름처럼 '프로세스' 단위의 생명주기를 다룹니다. 따라서 프로세스 A가 포그라운드에 있더라도 프로세스 B는 백그라운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앱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특수한 경우 반드시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 투명 액티비티와 다이얼로그: 앱 위에 시스템 권한 요청 다이얼로그가 뜨거나, 테마가 투명한 액티비티(
Theme.Translucent
)가 실행될 경우, 아래에 있던 기존 액티비티는 `onPause` 상태는 되지만 `onStop`은 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여전히 화면에 보이기 때문입니다. `onStart`/`onStop`을 기준으로 상태를 판단하는 우리의 두 방법 모두 이러한 상황에서 앱을 계속 '포그라운드'로 올바르게 인식합니다. 이는 `onResume`/`onPause`가 아닌 `onStart`/`onStop`을 기준으로 삼은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보여줍니다.
안드로이드 앱의 포그라운드/백그라운드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단순한 기술적 과제를 넘어, 사용자와 소통하고 앱의 품질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오늘 소개한 ProcessLifecycleOwner
를 활용하여 여러분의 앱을 더욱 똑똑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이제 여러분은 앱의 생명주기를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0 개의 댓글:
Post a Comment